https://www.youtube.com/watch?v=oFKYzp6gGfc&list=PLcXyemr8ZeoSGlzhlw4gmpNGicIL4kMcX

 

영상에서 다루는 얻고자하는것.

  • 네트워크란 무엇인가?
  • 인터넷이란 무엇인가?
  • 인터넷 동작방식

네트워크 큰 그림

스마트 TV, 컴퓨터, 스마트폰을 가지고있다. 

인터넷에 연결하고싶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이 과정에 대해 공부하고자 알아본다.

 

1. IP주소가 필요하다. 

인터넷에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인터넷 상의 주소이다.

 

2. 물리적으로 연결되기 위해 케이블선을 모뎀(Modem)에 연결시켜준다.

네트워크 통신에 필요한 신호변환 장치이다.

 

3. Modem에 공유기(home router)를 연결시킨다.

여러 기기들을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하는 장치이다.

하나의 IP 주소로도 동시에 인터넷을 사용하는것이 가능하다.

공유기에 연결된 기기들은 같은 네트워크 소속이다.

스마트TV, 컴퓨터는 유선으로, 스마트폰은 (WIFI)로 연결가능하다.

이제부터 각각의 기기들은 공유기를 통해 Internet과 연결이 가능하다.

스마트 TV에서 내 컴퓨터에 저장되어있는 영화를 보고싶다면 네트워크 통신을 통해 SMARTTV에서 컴퓨터에 접속하여 가져올 수 있음.

 

추가로 프린터를 구매했다면, 공유기를 프린터와 연결시킨다면 프린터는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면서 프린터에 내 컴퓨터의 문서를 출력가능하다.

 

4.  

컴퓨터를 추가로 2대 구매했다. 이들을 연결시키고싶으면 공유기와 연결하고실다.

문제는 유선으로 연결시키려고했는데 공유기의 랜포트가 부족하다.

이때는 Switch 를 활용한다

- 같은 네트워크 내의 기기들이 서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 보통 공유기의 랜(LAN) 포트수가 부족할떄 사용한다.

- 스위칭 허브 혹은 그냥 허브라고도 부른다.

 

switch와 각각의 컴퓨터를 랜선에 연결해주면 같은 네트워크에 속하게 된다. 이제 한개의 공유기에 많은 PC 제품들을 연결할 수 있다.

 

5. NETwork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이 리소스를 공유하거나 데이터를 주고 받기 위해 유선 혹은 무선으로 연결된 통신체계이다.

 

 

LAN(Local Area Network)

집, 학교 등 제한된 범위내에서 컴퓨터나 기타 기기들을 연결해서 데이터나 리소스를 공유할 수 있게하는 네트워크이다.

LAN에는 2가지 타입 기술이 존재한다.

Ethernet : 유선통신

wireless LAN(WIFI) : 무선농신

 

WAN(Wide Area Network)

여러 LAN이나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들을 하나로 묶어서 멀리 떨어진 기기들도 통신이 가능하도록 만든 네트워크이다.

훨씬 더 넓은 범위를 커버하는 네트워크.

ex) 은행의 ATM, wireless WAN(4G, 5G), Internet

 

Internet

- the network of networks : 네트워크의 네트우크이다. 각 LAN들이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기에 그렇다.

- the world's largest wan : WAN은 넓은 범위의 네트워크. 전세계의 네트워크를 커버하기에 그렇다.

- global network

 

우리 일반사용자들이 인터넷에 연결될 수 있도록 누군가 서비스를 제공해야한다.

일반 사용자나 회사, 기관 등이 인터넷을 사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연결 서비스를 제공하는 존재, ISP(internet service provider)

 

내가 가입한 ISP를 통해 어떻게 인터넷에 있는 다른 컴퓨터와 통신할 수 있는걸까?

인터넷의 body, core라고 불릴 수 Internet부분들이 ISP 들에 의해 어떻게 연결되는지 살펴본다.

내부적으로 다양한 ISP들이 본인의 네트워크들을 가지고있고, 그 ISP(InternetServiceProvider)가 서로 연결되어있다.

 

인터넷의 body 부분은 각각의 ISP가 연결되는 구성이다. 이 ISP들은 각각의 체급 계급이 존재한다.

역할과 규모에 따라 tier가 나뉜다.

각 tier 1, tier2, tier3 에 대해 알아본다.

 

Tier1, Tier 2, Tier3

Tier1

  • 국제 범위의 네트워크를 보유하고잇다.
  • 인터넷의 모든 네트워크를 접근가능하다.
  • 즉, tier1이 tier2로 접근하고싶으면 접근하면된다.
  • tier1이 tier3로 접근하고 싶다면, tier1 -> tier2 -> tier3로 접근한다. 
  • 이것을 인터넷의 중추역할(back bone)이라고 한다.
  • 바로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고, 인터넷이 전세계를 커버할 수 있도록 하나의 네트워크로 연결될 수 있도록하는 핵심역할을 제공한다.
  • 트래픽 전송비용이 없다. 만약 tier1에서 tier2 로 전송할떄 tier1 -> tier1 -> tier2 일떄 트래픽 발생하여 비용을 청구해야하는데 서로 데이터를 전송하기에 따로 비용 청산을 하지 말자는 협약이 존재한다. 
  • 이 하위 tier와 통신하게 되는 경우는 tier2 에서 만약 tier2로 전송하고싶다면, tier2 -> tier1 -> tier2로 통한다. 즉, tier2는 tier1에 트래픽 전송비용이 발생한다.

Tier2

  • 국가/지방 범위 네트워크를 보유한다.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이다.
  • 인터넷의 모든 영역에 연결되기 위해 tier 1 ISP에 비용을 내고 트래픽을 전송한다. 이 부분이 망중립성과 관련되서 이야기되고 있다.

Tier3

  • 작은 지역 범위 서비스 제공
  • 일반 사용자나 기업 대상 서비스
  • 상위 ISPs에게 비용을 내고 인터넷 트래픽을 구매해서 이를 통해 서비스한다. 

 

ISP 네트워크 간에는 어떻게 연결되는걸까.

ISP에는 Router로 이루어져있다.

라우터(Router) : 목적하는 네트워크에 데이터를 보내는 장치이다.

예를들어 게임서버1은 다른 게임서버2로 데이터를 보낸다고해보자. 

게임서버1은 ISP A에 가입했다.

게임서버2는 ISP B에 가입했다.

 

게임서버1은 게임서버2(192.XX.XX)인데 어디로 갈지 물어본다. 라우터는 해당 IP주소를 보고 다른 라이터로 가서 물어보라고 알려준다. 어디로 가면되는지  router를 거치면서 IP주소에 맞게 찾아가기 시작한다.

이떄 router는 ISP에 속한다.

 

ROuter는 즉, 서로 다른 네트워크의 ISP를 연결하는 역할을한다.

 

네트워크 전송 예시

1. 내가 가입한 컴퓨터 A의 ISP의 라우터로 데이터를 보낸다.

2. 내부적으로 게임서버 1 IP를 찾기 위해 ISP의 라우터는 다른 네트워크로 계속해서 데이터를 보내며 최종적으로 내가 원하는 게임서버1의 IP로 이동한다.

3. 여러 ISP를 관리하는 네트워크를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도착한다.

 

Node

네트워크를 이루는, 연결된 장치(device) 들을 Node라고 한다.

 

End System, 호스트(host)

네트워크의 끝에 있는 노드. 실제 일반 사용자들이 사용할 네트워크를 hosting하고 있기에 host라고한다.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연결된 노드다. 우리같은 일반 사용자에게 네트워크를 사용하기 위해 제공된다.

클라이언트와 서버로 나뉜다.

 

클라이언트, Client

다른 호스트의 데이터나 리소스를 요청하는 호스트.

예시로, 내가 현재 보는 영상은 유튜브 서버의 영상이다.

이 유튜브 서버가 요청에 응답하여 영상을 반환해준다.

 

서버, Server

다른 호스트에게 서비스를 제공하는 호스트이다.

요청에 따라 데이터나 리소스를 제공한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