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요구페이징
사용자가 요청할떄 해당 페이지를 메모리로 가져오는 것을 말한다.
2. 페이지 테이블 엔트리의 플래그 비트
- 접근 비트 :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사용한 적이 있는지 알려주는 비트이다.
- 변경 비트 : 페이지가 메모리에 올라온 후 데이터의 변경이 있었는지 알려주는 비트이다.
- 유효 비트 : 페이지가 실제 메모리에 있는지를 나타내는 비트이다.
- 읽기, 쓰기, 실행 비트 : 페이지에 대한 읽기, 쓰기, 실행 권한을 나타내는 비트이다.
3. 페이지 부재
프로세스가 페이지를 요청했을떄 그 페이지가 메모리에 없는 상황을 말한다.
4. 지역성
기억장치에 접근하는 패턴이 메모리 전체에 고루 분포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영역에 집중되는 성질을 말한다. 지역성은 크게 공간의 지역성, 시간의 지역성, 순차적 지역성으로 나뉜다.
5. 페이지 교체 알고리즘
종류 | 알고리즘 | 특징 |
간단한 알고리즘 | 무작위 | 무작위로 대상 페이지를 선정하여 스왑 영역으로 보낸다. |
FIFO | 처음 메모리에 올라온 페이지를 스왑 영역으로 보낸다. | |
이론적 알고리즘 | 최적 | 미래의 접근 패턴을 보고 대상 페이지를 선정하여 스왑 영역으로 보낸다. |
최적 근접 알고리즘 | LRU | 시간적으로 멀리 떨어진 페이지를 스왑 영역으로 보낸다. |
LFU | 사용빈도가 적은 페이지를 스왑영역으로 보낸다. | |
NUR | 최근에 사용한적이 없는 페이지를 스왑영역으로 보낸다. | |
FIFO 변형 | FIFO 알고리즘을 변형하여 성능을 높인다. |
6. 스레싱
하드디스크이 입출력이 너무 많아져서 잦은 페이지 부재로 작업이 멈춘 것 같은 상태를 말한다.
7. 프레임 할당방식
- 정적 할당 : 프로세스 실행 초기에 프레임을 나누어준 후 그 크기를 고정하는 방식이다.
- 동적 할당 : 프로세스를 실행하는 중에 프레임을 나누어주기도 하고 회수하기도 하는 방식이다.
'스터디 > 운영체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터디][운영체제] Chapter 11. 파일 시스템 (0) | 2024.03.08 |
---|---|
[스터디][운영체제] Chapter 10. 입출력 시스템과 저장장치 (0) | 2024.03.08 |
[스터디][운영체제] Chapter 08. 가상 메모리의 기초 (0) | 2024.02.21 |
[스터디][운영체제] Chapter 07. 물리 메모리 관리 (0) | 2024.02.12 |
[스터디][운영체제] Chapter 06. 교착 상태 (0) | 2024.02.04 |